전문은 TCP 프로토콜을 통해 바이트 스트림 형태로 전송된다. 전문 자체가 16진수인 것은 아니며 전문의 데이터를 확인할 때 일반적으로 16진수(Hex Dump) 형태로 표현한다. 구성공통헤더부: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본 정보 (시스템 ID, 전문 길이, 송·수신 구분 등)데이터부: 실제로 업무에 사용되는 정보 1. Fixed Length 전문 송·수신 시, 정의된 포맷을 기준으로 항목별 크기만큼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잘라내어 해석한다. 바이트 분리전문 설계서 또는 내부 규격에 정의된 바이트 단위 길이를 기준으로 분리한다.예: 이름 필드가 10바이트라면 → 2 * 10 = 20자리의 16진수 데이터를 분리한다.예: 주소 필드가 30바이트라면 → 2 * 30 = 60자리의 16진수 데이터를 분리한다.예:..
구분통신 범위담당 아키텍처/요소예채널 연계채널 ↔ 대내MCA/MCIATM ↔ 계정계내부 연계대내 ↔ 대내EAI/ESB계정계 ↔ 대출대외 연계대내 ↔ 대외FEP은행 ↔ 금융결제원 채널 연계1. MCI (Message Channel Interface)뜻: 시스템과 시스템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메시지 채널 인터페이스역할송신 시스템 ➡️ 메시지 전송수신 시스템 ⬅️ 메시지 수신전송 방식: Queue, Topic, File, HTTP, SOAP, REST 등 다양특징메시지의 전송 경로와 관련인터페이스 표준을 맞춰야 서로 통신 가능👉 쉽게 말해: “버스 노선”2. MCA (Message Channel Adapter)뜻: 이기종 시스템이 MCI(메시지 채널)에 붙을 수 있도록 해주는 어댑터역할각 시스템의..
OffscreenCanvas Canvas API는 보통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한다. 캔버스 애니메이션과 렌더링과 관련된 계산은 메인 스레드의 부하를 불러오기도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화면 밖에서 렌더링할 수 있는 캔버스를 제공하고 DOM과 Canvas API를 분리하여 canvas 요소가 DOM에 완전히 의존하지 않도록 한다. 1. HTML에서 요소 생성 2. 웹 워커 생성 및 OffscreenCanvas 전달(main.js) postMessage를 사용할 때 transfer 옵션을 보내야 하는 이유는 OffscreenCanvas 객체를 웹 워커로 소유권을 이전하기 위해서다. JavaScript에서 객체는 기본적으로 복사로 전달된다. 하지만 OffscreenCanvas는 복사할 수 없고, 대신 전송..
-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는 과정을 반복하며, 나머지가 0이 될 때 나누는 수가 최대공약수가 되는 알고리즘// 방법1. 반복문const gcd = (num1, num2) => { let r; while(num2 > 0) { r = num1 % num2; num1 = num2; num2 = r; } return num1;}// 방법2. 재귀 함수const gcd = (num1, num2) => (num2 > 0 ? gcd(num2, num1%num2) : num1); ex) GCD(18, 12) = 6a = 18, b = 12 ➡️ r = 6a = 12, b = 6 ➡️ r = 0a = 6, b = 0 ➡️ X
ResizeObserver- DOM 요소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는 웹 API이다.1. ResizeObserver 생성const resizeObserver = new ResizeObserver((entries: ResizeObserverEntry[]): void => { entries.forEach(entry => { const { width, height } = entry.contentRect as { width: number; height: number }; console.log(width, height); });}); 2. 요소 크기 변화 관찰 시작- observe() 함수를 사용해 요소의 크기가 변화할 때마다 콜백 함수 실행const element = documen..
Web Worker- 웹 애플리케이션이 메인 스레드와 별도로 스크립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ex) 모니터링 실시간 데이터 처리 ➡️ 1초마다 메인 스레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한다면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앱은 느려지고 UI는 지연된다.😼Main Thread- 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실행하는 UI 스레드- Web Worker를 생성하고 통신을 주도🐭Worker Thread- 메인 스레드가 생성한 백그라운드 스레드- 독립된 환경에서 작업하며, 메인 스레드와 메시지 교환으로 통신 1. Web Worker 생성- 설정된 시간(1초)마다 refresh token을 Main Thread로 보내는 Web Worker이다.- selft를 사용하는 이유는 Worker 객체 스스로에게 들어오는..